티스토리 뷰
용적률 계산방법 알아보겠습니다. 이사를 하려고 아파트 매매와 전세를 알아보고 있는데요. 용적률이 중요하다고 해서 공부해보려고 합니다. 용적률과 건폐율이라는 말이 있어서 둘다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. 아파트 재건축에도 아주 중요한 것이니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용적률이란 floor area ratio로 대지안에 지을 수 있는 건물의 총면적을 말합니다. 보통 몇층을 짓는지와 관련이 있는데요. 건폐율과 함께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사항입니다. 특히 재건축을 염두해 둔다면요.
용적률 계산방법은 먼저 글로 말씀드리면 건축의 연면적 나누기 대지면적에 곱하기 100을 한 수치입니다. 용적률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물 연면적 비율로 이 대지에 얼마나 높이 건축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.
용적률 계산방법을 통해 알아본 용적률이 낮은 대지는 고층을 지을 수 없고 용적률이 높은 곳은 고층빌딩을 지을 수 있습니다.
100평의 대지에 100평 1층 건물이 세워진다면 용적률 100%입니다. 50평 2층 건물이 세워진다면 용적률 100%입니다. 20평 5층 건물이 세워져도 용적률 100%가 되겠지요.
용적률이 높을 수록 건축할 수 있는 총 연면적이 많아지기 때문에 건축 밀도가 높아집니다. 재개발, 재건축의 경우 용적률이 클 수록 물량이 증가해서 수익도 높아지기 때문에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.
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생활환경등을 고려하여 각 지역별로 용적률 기준을 정하고 있기 때문에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. 특히 저처럼 거래를 하실 분들은 특히나요.
용적률이 높을수록 더 많은 분양이 가능하기 때문에 나중의 수익이 더 높아질 수 있는 것입니다. 용적률 계산방법은 (건축물의 연면적 / 대지면적) x 100 으로 나오니 알아두시면 좋습니다.
용적률 계산방법을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건물의 층별 면적 합 나누기 대지면적을 한 후 곱하기 100을 하면 됩니다. 보통 주거지역은 1종 전용 주거치역 50%이상부터 준 주거지역 50%이하까지 기준에 따라 다양해집니다.
용적률에 포함시키지 않는 면적이 있는데요. 지하층의 바닥면적, 지상층 면적 중 주차용으로 쓰는 면적, 주민 공동시설의 면적, 고층 건축물의 피난안전구역 면적이 포함되지 않으니 이 면적들은 더하지 않고 용적률 계산을 해야 합니다. 도시에서는 용적률이 높은 상업지역과 준주거지역이 더 비싸게 거래가 되고 있으니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.